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건설의 핵심 자재인 콘크리트, 철근, 시멘트 가격이 올해 크게 올라 이에 따라 어떤 문제가 따르게 되는지에 대해 알 수 있는 기사를 선정해보았습니다. 어떤 부분이 우려되고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는지 살펴보고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길 바라며 시작해보겠습니다.
✔️ 헤드라인
거래 끊긴 아파트, 더 안 팔리겠네… 분양가 줄인상 예고
기사: 2022년 8월 4일 매일경제 1면
✔️ 본문
업계 11~15%씩 올리기로
연중 두 차례 인상 '이례적'
아파트 건축비 상승 우려
시멘트 업계가 올해 또다시 가격 인상에 나선다. 지난 4월 한 차례 가격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4개월 만이다.
아파트 분양가 상승 등 산업계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멘트 제조에 쓰이는 유연탄 가격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시멘트 사들 입장이다. 그러나 이미 올해 한 차례 가격 인상을 단행한 상황에서 불과 반년 새 추가 인상안을 일방적으로 통보한 데 대해 레미콘·건설사들은 강력 반발할 조짐이다. 3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한일시멘트는 다음달 1일부터 현재 t당 9만 2200원인2200 시멘트 가격을 10만6000원으로 약 15% 인상하는 내용의 공문을 레미콘사 등에 전달했다.
앞서 삼표 시멘트도 오는 9월 1일 자로 시멘트 가격을 t당 9만 4000원에서400010만 5000원으로11.7% 인상하는 내용의 공문을 레미콘사들에 보냈다. 이에 따라 쌍용 C&E와C&E 성신양회 등 나머지 대형 시멘트 제조사들 역시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9월부터 시멘트 가격이 추가로 인상될 경우 올 들어서만 두 번째 인상이다. 올해 4월 15~18%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던 시멘트 업계가 4개월 만에 또다시 가격 인상을 추진하고 나선 것이다. 2014년 이후 수년째 동결돼왔던 시멘트 가격이 한 해에만 두 차례나 인상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레미콘 가격이 오르면 당장 건설현장의 건축비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 산업계 전반에 걸쳐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 분양시장이 전반적으로 경쟁률이 둔화되고 미분양·미계약이 늘어나는 분위기인데 자재 가격 인상으로 분양가가 오르는 이중고가 생길 수 있다"며 "소비자의 분양가 부담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시멘트 가격 내달 15% 인상
둔촌주공 사례에서 보듯
재건축 '공사비' 갈등 우려
"서울 신규 공급에 악영향"
올해 들어 시멘트 가격이 두 번 인상되면서 전국 아파트 공사 현장에도 비상이 걸릴 전망이다.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해 무주택자들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3일 각종 관련 지표에 따르면 분양시장은 불황이 지속되는 모양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은 2만 7917가구로7917 전월 대비 2%(535가구) 증가했다.
공급자들이 부담을 크게 느껴 분양에 소극적인 상황에서 분양가 상승이 이뤄지면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콘크리트, 철근, 시멘트는 모든 분야의 핵심 자재인데 올해 이 세 가지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해 업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건설업은 가격 전가가 불가능해 고스란히 경영 실적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결국 사업성 악화로 적극적인 분양이 어려워져 공급이 줄고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라고 밝혔다.
정비사업을 진행 중인 시공사와 조합 간 갈등이 불거지며 기존 사업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권일 부동산 인포 리서치팀장은 "원자재 가격 인상은 정비사업장에 둔촌주공아파트처럼 조합과 시공사 간에 언제든 터질 수 있는 불씨를 남겨놓는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조합과 시공사가 소극적인 모습으로 나오면 서울 같은 곳은 신규 주택 공급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라고 밝혔다. 건설업계는 시멘트 가격 인상이 레미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공산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소수 업체가 과점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시멘트와 달리 전국 각지에 소규모 업체가 즐비한 레미콘업계 입장에서 건설사를 상대로 가격 인상안을 통보하기에는 현실적 제약이 많다는 것이다. 중소 레미콘업체들 연합체인 한국레미콘공업 협동조합연합회 관계자는 "레미콘 업체들이 건설사를 대상으로 곧바로 가격 인상에 나서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시멘트사와 건설사 사이에서 이도 저도 못하는 샌드위치 신세가 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 추가 조사
시멘트(cement)
물 또는 용액으로 반죽하였을 때 단단히 굳어져 교착제 또는 접착제의 구실을 할 수 있는 무기질 물질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공사 등에 다량으로 사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계만을 말한다.
유연탄
무연탄에 대응하는 석탄의 분류 명칭이다. 다량의 휘발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연소될 때 화염을 내며 탄다.
무연탄
석탄의 종류 중 탄화도가 가장 높으며 연소할 때 연기를 내지 않는 석탄을 말한다.
✔️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동결되었던 가격을 한 번 인상하였는데 또 인상한다는 것은 그때에는 유연탄 가격이 급등이 지속된다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었는지?
2. 자재값 인상으로 건설 비용이 증가하면 분양가 인상이 될 수 있는데 만약 인상을 원하지 않아 그대로 공사가 진행되면 부실 공사가 될 원인이 생기지는 않는지?
✔️ 참고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시멘트
(네이버 지식백과) 유연탄
(네이버 지식백과) 무연탄
얼마 전 뜨거웠던 대구 분양시장이 지금은 미분양이 많아지고 울산도 미분양이 많다는 뉴스를 접했는데 이렇게 자재값도 상승하면 분양시장은 더 죽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됩니다. 이 분야를 아직은 잘 모르기 때문에 섣불리 이렇다 저렇다 제 의견을 내기도 쉽지는 않지만 이렇게 되면 어떻게 해결을 할 수 있을지는 문득 궁금해집니다. 분명 유연탄의 가격 급등으로 각 자재 업체들도 영업 이익률이 높지 않다는 것은 알기에 불필요한 가격 인상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가 간의 전쟁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전쟁은 그저 단순한 무력 싸움이 아닌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가볍게 볼 수만은 없을 것입니다. 어서 모든 국가의 안정을 되찾을 수 있길 바랍니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 임금은 올리라면서…은행노조 "코로나 단축영업 계속하라" 압박 (0) | 2022.08.06 |
---|---|
[경제신문스크랩] "층간소음 줄이는 기술 공동개발"…삼성·포스코·롯데건설 손 잡았다 (0) | 2022.08.05 |
[경제신문스크랩] AI속기사, 이젠 경찰조사때 대신 받아쓴다 (0) | 2022.08.03 |
[경제신문스크랩] [단독] "초등교사 뽑을 필요없다" 부산교대 총장 고백 (0) | 2022.08.02 |
[경제신문스크랩] 사적연금 소득도 건보료 부과 대상 검토 (0) | 2022.08.01 |
댓글